조기은퇴를 위한 미라클 모닝

반응형

 

 

[대표사진]

 

 기상시 느낌과 수면의 질

- 수면의 질

컨디션은 괜찮았지만 그냥 일어나기 싫었다.

누워서 하나둘셋 세고 일어났다. 이건 일어나기 싫을때 많은 도움이 된다.



 Silence_침묵 (1분)

- 기도 / 명상 & 심호흡하기

유튜브에서 이것저것 따라해보고 있는데 너무 복잡하다.

그냥 호흡과 이완하는게 아직은 가장 편안하다.

 

 

 Affirmations_확신의 말 (1분)

- 좋은 말/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

It's going to be a great day!

 

 

 

 Visualizations_시각화 (1분)

- 목표를 달성한 내 자신을 상상

그래 오늘도 달려보자

 

 

 Exercise_운동 (10/35분)

- 요가/스트레칭 10분

계속 하다보니 이제는 하기싫음과 짜증을 너머서 스트레칭 하는 동안 마음까지 편안해진다.

 

- 링피트 10분

어제 저스트댄스했는데, 오늘도 해야지!

 

- 걷기/조깅 15분

오늘 날씨가 별로인데..

 

 

 Reading_독서 (/15분)

- 영어 오디오북 들으며, 읽으면서 따라하기(15분) [ 1일 1권 무료: http://blinki.st/329cee5dc4c8 ]

나중에 

 

- 이미 나의 목표를 달성한 사람들의 책 찾아 읽기

 

 

 

 Scribing_기록하기 (10/10분)

- 오늘 미라클 모닝 하며 느낀점

덕분에 전화영어를 했다. 오늘 정말 하기 싫어서 스킵할뻔 했다.

 

- 오늘 하루 가장 기대되는 것은?

어제부터 다시 뽀모도로를 시작했는데 집중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 오늘 하루 가장 성취하고 싶은것은?

만족할만큼 할수있을까?

 

 

 

 전화영어 ( /30분)

- 복습

 

- 예습 ( 25/15분)

더보기

 

[Eye on English] Korea Shifts English Focus to Communicative Skill Teaching

[영어에 대한 시각] 한국이 영어의 중점을 의사소통 기술 교육으로 바꾸다

The pedagogical focus of teaching English in Korea has shifted from trying to fill learners’ heads with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to having them actually produce output and interact with one another. As a result, teaching methods have evolved from a grammar-centered approach to an approach in which communication trumps everything.

Nowadays, classrooms are working on producing language in a pragmatic, authentic and spontaneous way. Such an approach differs from those of the past, which relied more on rote memorization of grammar rules and vocabulary.

The new style, while better for actually encouraging students to use the language, does have some limitations - the physical constraints of the classroom and the necessity to prepare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eachers are using more technology in the classroom as well as tailoring lessons to meet students’ various levels of proficiency as well as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needs.

Despite the ongoing quest to create the perfect curricula, the gap between educational ideals and classroom realities continues to be ever widening. The evolution of English education standards and methods has been influenced by major shifts in global teaching trends.

A few decades ago, linguist Stephen Krashen developed the “comprehensible input” hypothesis. This hypothesis stated that learners must be exposed to a certain level of English input that is a little difficult but still comprehensible to the learner.

Later, another researcher called Merrill Swain disagreed with Krashen’s findings, stating that output was more important. Swain said that when learners produce language, they notice their own errors and thus modify them. Krashen countered, saying that output in beginners is rare and that comprehensible output is even rarer.

Michael Long offered yet another crucial hypothesis to the mix. He said that in order for language to be acquired, students must take part in face-to-fac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Doing so, learners can exchange feedback and negotiate for meaning with each other. This describes the current approach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한국의 영어 교육에 대한 교육학적 초점이 학습자의 머리를 가능한 한 많은 정보로 채우려는 것에서 실제 결과를 만들어 내고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옮겨왔다. 그 결과, 교육 방법이 문법 중심의 접근법에서 의사소통이 가장 중심이 되는 접근법으로 발전했다.

최근, 교실에서는 실용적이며, 실제적이고 자발적인 방식으로 언어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러한 접근법은 단순히 문법적 규칙과 어휘를 암기하는 데 의존했던 과거의 접근법과는 다른 것이다.

새로운 방식은 학생들을 실제로 언어를 사용하도록 고무시킨다는 점에서 더 좋은 면도 있지만, 약간의 한계점들을 - 교실이라는 물리적 제약과 대학 입학 시험을 준비해야 한다는 필요성 -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인지적이고 정의적인 요구뿐만 아니라 그들의 다양한 능력 수준에 부합하기 위해 수업을 조정하고 또한 교실에서 더 많은 과학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완벽한 교과과정을 만들고자 하는 지속적인 탐구에도 불구하고, 교육적 이상과 교실의 현실 사이에서의 격차는 계속해서 더욱 벌어지고 있다. 영어교육의 표준과 방법의 진화는 세계 영어교육 흐름의 주된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아 왔다.

몇 십 년 전, 언어학자 Stephen Krashen은 “이해 가능한 입력” 가설을 전개했다. 이 가설은 학습자들이 조금 어렵긴 하지만 이해 가능한 일정 수준의 언어적 입력에 노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후에 Merrill Swain이라 불리는 또 다른 연구자는 Krashen의 연구 결과에 반대하며, 산출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Swain은 학습자들이 언어를 표출할 때 그들이 자신의 오류를 알아차리고 이를 수정한다고 언급하였다. Krashen은 초보자에게 산출이란 드문 일이며 이해 가능한 산출은 더욱 더 보기 드문 일이라며 반박하였다.

Michael Long은 앞의 둘의 혼란 속에 또 다른 중요한 가설을 제공하였다. 그는 언어를 습득하기 위해 학생들은 면대면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렇게 하면서 학습자들은 피드백을 주고받고 서로의 의도에 대한 합의점을 찾을 수 있다. 이는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 교육이 현재 취하는 접근법을 말한다.

 

 

 

- 수업 ( 10/10분)

선생님 목이 쉬어서 내가 다 안타까움

 

- 작문

 

전화영어 무료 레벨테스트 및 3만원 할인쿠폰 받기 : m.uphone.co.kr/v3/ma24.asp?p=1CF97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